티스토리 뷰

 

세금을 카드로 납부 할 수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?

 

 

┃세금을 납부해야 하는데 당장 가지고 있는 현금이 없다면?

모든 세목에 대해서 신용카드로 납부 할 수 있으니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.

(부가가치세, 종합소득세, 법인세, 양도세 등 모든세목에 대해서 카드납부 가능합니다!)

 

https://hometax.go.kr/websquare/websquare.wq?w2xPath=/ui/pp/index_pp.xml

 

국세청 홈택스

 

hometax.go.kr

https://www.cardrotax.kr/index.giro

불러오는 중입니다...

 

국세청 홈택스, 금융결제원 카드로택스, 금융기관 CD/ATM에서 납부할 수 있고,

전국의 세무관서에 설치된 신용카드 단말기로도 납부 가능합니다.

 

 

┃모든 카드로 다 결제할 수 있나요?

비씨, 신한, 삼성, 현대, 롯데, 국민(KB), 씨티,

전북은행, 광주은행, 제주은행, 수협은행, 하나카드, 농협(NH) 가 결제 가능합니다.

13개의 카드인데 우리가 주로 사용하는 카드가 거의 다 들어가 있으니

많이 불편하실 일은 없으실 것 같습니다.

 

 

┃카드결제의 단점과 장점

카드결제를 하게 되면 납부대행 수수료는 납세자가 부담하게 됩니다.

세금 + 납부대행 수수료가 발생하게 되는 것은 세부담에 커지게 느껴지는 것이므로 단점이 되는 것이겠죠?

수수료는 신용카드의 경우 납부세액의 0.8%, 체크카드의 경우 0.5%입니다.

많다고 생각하실 수도 있지만 세금 현금납부자와의 형평성을 생각해 법령에 따라 최소한의 금액만 부담한 것이라고 합니다.

(미국의 경우에도 카드 납부할 때 1.87%~1.99%의 수수료를 납세자가 부담한다고 하네요.)

 

반대로 장점은 카드 실적을 쌓을 수 있어서

카드에 따라서 실적 포인트나, 실적 점수에 대한 이득을 받을 수 있습니다.

또 따로 관할 세무서에 납부기한 연장신청(분할신청)을 하지 않아도 카드로 할부 납부를 할 수 있습니다.

 

 

┃카드 납부하고 싶은데, 생소해서 잘 모르겠다면...

그래도 잘 모르는 사항이 있다면,

일단은 꼼꼼하게 납부할 세액과 고지서를 꼼꼼히 확인 하시고

해당 세무서에 1차적 문의를 해보시기 바랍니다.

, 납부화면 입력하시다가 오류 등 결제에 관한 오류는

금융결제원 홈페이지 및 상담센터 (1577-5500)으로 문의하셔도 됩니다.

 

 

 


 

대한민국에서 태어난 사람이라면 세금납부의 의무는 피해갈 수 없습니다.

이왕 내는 거라면 조금 더 내가 이익이 될 수 있게, 실속 있게 챙길 거 챙기면서 낼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.

똑똑한 납세자가 됩시다!

 

 

댓글